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44

[MM] 자재마스터 평가클래스 (자동계정결정) 평가클래스 값에 따라 구매시 어떤 계정에 귀속될건지 결정된다. 자재관리-평가 및 계정 지정-마법사없이 계정 결정-평가클래스 정의  https://saphana.co.kr/69 2024. 7. 10.
[PP] BOM 대량 삭제 BOM을 삭제하기 위해선 우선생산버전을 삭제해야한다. 생산버전은 자재마스터의 MRP4 뷰에 존재하며테이블은 MKAL 이다.\  이후 C223에서 삭제를 진행한다.여러 자재를 입력하고 조회한뒤,전체 선택 후 휴지통버튼으로 대량 삭제한다. 이후 MKAL에 남아있는지 확인한다. BOM 대량 삭제는 LSMW에서 작업한다. (LSMW 티코드 사용법은 구글에 치면 많이 나온다. )MAST에서 자재번호,플랜트,대체 BOM(STLAL) 추출하여탭으로 분리된 텍스트로 LSMW에서 업로드하여 대량 삭제 처리한다. 2024. 7. 10.
[MM] M to M 재고이동 요청내역:*5211플랜트 471010034 2,980kg -> 5211플랜트 471010131 2,980,000g*5212플랜트 471010034 1,520kg -> 5212플랜트 471010131 1,520,000g  M TO M 이동유형 309 두개의 자재가 단위가 다를경우엔 불가능함. MIGO는 단일로밖에 처리 못해서 MB1B에서 처리.배치번호는 MMBE에서 조회가능   그래서 MIGO 에서561, 562 로 재고 살리고 없애는 걸로 처리.  재고 살릴때 표준원가를 모르니까 CO쪽에 어떤 금액으로 올리면 될지 문의해보고 진행해야함, 2024. 7. 10.
[QM] 자재마스터 품질뷰 검사설정 자재마스터 검사설정시, 구매오더 재고유형 결정함  01 생산입고 검사, 04 구매입고 검사  이후입고시 migo에서 납품탭 재고유형은 구매오더의 재고유형 따라감. 검사설정 해제시 입고할때 검사로트 생성되지 않음. 품질재고를 가용재고로 전환하려면 MB1B 이동유형 321로 이동시키면 됨. 2024. 7. 10.
[QM] 판정시 코스트센터 결정하는 IMG 이렇게 코스트센터를 세팅해줄 수 있다. 스크랩 수량(=관리품 수량)을 사올때 쓴 비용을 어떤 코스트센터에 넣을지 결정한다. 티코드 QA32에서 검사로트 판정을 해보자.   사용결정 버튼이 판정 버튼이다.   이렇게 세팅한 코스트센터를 자동으로 가져온다. 만약 세팅 값이 없더라도, 여기서 수동으로 넣어줄 수도 있다. 2024. 7. 10.
[MM] 송장 처리시 G/L계정 세팅 IMG 입고나 송장을 처리하면, 자동으로 회계전표가 생성된다. 이때 회계전표에는 여러 G/L계정들이 존재하는데 이 계정들은 IMG 세팅으로 설정한다.        원래 플랜트-평가클래스-이동유형 별로 설정하는데, 해당 티코드에서 자재번호넣고 시뮬레이션 해볼 수 있다.   세팅된 G/L 계정으로 회계전표가 생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G/L계정이 어떤 거래그룹에 속해있는지 확인하려면 테이블 T030에서 G/L계정으로 검색한 뒤 위의 화면에서 조회할 수 있다. 2024. 7. 10.
728x90
반응형